•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OAUTH2
  • 조회 수 111

post-thumbnail

Multi-factor authentication

보안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씩은 Multi-factor authentication을 들어보았을 것 이다. 이는 단순히 ID Password만으로 인증하는 방식이 아니라 OTP등 다른 추가적인 인증 기기나 SMS, Email과 같은 수단으로 인증코드를 전송 하면서 계정에 추가적인 보안계층을 도입하는 것을 말한다.
국내에서는 인지도가 비교적 낮지만 최근에는 별도의 하드웨어 보안키를 이용해서 인증을 하기도 한다.

(아래는 Namecheap의 Two-Factor Authentication 설정화면)

Webauthn

 

Webauthn은 fido2 하드웨어 보안 토큰을 웹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W3C에서 표준화한 자바스크립트 API 표준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WebAuthn

 

개발을 시작하면서

 

Webauthn은 기본적으로 사용자를 비대칭 암호화 기술로 확인한다, 보통 RS256이나 ES256을 많이 사용한다.
인증 플로우나 기타 자세한 내용은 라엘님 블로그를 참조하자.

나는 기본적으로 backend 서버로 go언어의 echo 프레임워크로 개발했다.
(사실은 labstack/echo 처음 써본다)
go언어가 기본적으로 crypto 라이브러리가 풍부하고 손에 익어서 사용했다.

나는 fido2를 지원하는 하드웨어 보안키가 없기 때문에 Chrome의 webauthn 디버거와 스마트폰의 TPM을 사용했다.

인증 과정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hex로 인코딩해서 XHR 통해서 서버로 전송했다.

키 등록시에는 create 버튼을 누르면 navigator.credentials.create를 사용해서 인증기기에서 키를 생성하고 PublicKey와 ID를 export 한다.
그 다음 이를 서버에서 유저 정보에 보관한다.

키를 사용할 때는 서버에서 challenge를 생성해서 클라이언트에 보낸다.
클라이언트는 navigator.credentials.get을 호출하여 challenge를 자신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서명하고 서버에 response 를 전송한다, 서버는 이를 다시 해당유저의 공개키로 검증하고 AuthenticatorData를 파싱해서 Relying Party Hash와 counter를 확인한뒤 클라이언트에게 인증권한을 부여한다.

결론

webauthn과 fido2는 나의 생각보다 훨씬 완성도 높은 기술이였다.
앞으로 자주 활용사례가 보일듯하다. 인증 구현하는것은 그다지 어렵지는 않았다. 다만 CBOR 디코딩에서 조금 어렵기는 했지만..
그리고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Github에서도 사용하는 기술이니 한번쯤 시도해 보면 좋은 경험이 될것이다.

결과물을 MIT라이선스로 공개합니다. 필요한경우 참조해도 좋습니다.^^
https://github.com/lemon-mint/webauthn-demo-server
(Star✨도 한번씩 눌러주세요^^)

Velog: https://velog.io/@icemint/webauthn

webauthn은 기본적으로 사용자를 비대칭 암호화 기술로 확인한다, 보통 RS256이나 ES256을 많이 사용한다.나...

 

이니스프리님 이니스프리 포함 1명이 추천

추천인 1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1차 해결 및 추가] 서버 접속 불가 문제 안내 11 마스터 마스터 5일 전15:22 183
공지 [작업 완료] 설 명절 맞이 서버 업데이트 안내 3 마스터 마스터 24.02.11.17:21 2250
공지 [중요] 호스팅 만료와 관련하여 일부 수칙이 변경됩니다. 4 마스터 마스터 23.01.14.02:23 5931
공지 낚시성 불법도박 홍보 게시글을 주의하세요. 9 image 네모 네모 22.08.09.18:13 768
공지 슬기로운 포인트 벌이를 하는 법 (22.10.11 업데이트) 64 네모 네모 18.06.17.20:25 15667
6450 해싱을 처음 배웠습니다 ㅋㅋㅋ wikiowner 21.10.21.18:53 1619
6449 으음ㅁ 가사 검색 기능을 만들었습니다! 18 image TVJ title: 열려라 맛스타의 자물쇠TVJ 17.10.06.14:06 1612
6448 헐... freenom 도메인 하나 털렸네요. 16 NoYeah NoYeah 17.08.18.16:44 1612
6447 주간 근황 20 image 국내산라이츄 국내산라이츄 21.10.23.23:39 1576
6446 휴대폰 거치대를 제작했습니다. 5 image 네모 네모 18.05.22.15:06 1561
6445 node.js를 공부한지 3일차 3 갱생협스 갱생협스 22.02.14.18:15 1549
6444 스텔라리스 모드 적용 잘되네요! 4 image BVC_Liper_Okbul BVC_Liper_Okbul 18.12.30.22:43 1542
6443 주간 근황 4 image 국내산라이츄 국내산라이츄 21.10.16.01:39 1538
6442 편도에도... 사마귀가 나네요... 1 국내산라이츄 국내산라이츄 18.09.18.19:58 1537
6441 이로치 꼬렛을 잡았습니다. 6 image 제르엘 제르엘 17.10.05.22:46 1532
6440 드디어 위키 관리자가 일하기 시작했습니다. (스포어 위키 브리핑) 5 제르엘 제르엘 22.01.18.20:39 1530
6439 아이폰 액정 금갔어요ㅠㅠ 29 image joyful title: 에그joyful 18.07.21.10:40 1529
6438 한국에서는 왜 포럼형 게시판이 인기가 없을까요? 12 이니스프리 이니스프리 17.11.16.19:33 1528
6437 카톡 안되는 이유입니다. 6 에듀 title: 맛스타의 자물쇠에듀 16.09.12.21:03 1519
6436 주간 근황 4 image 국내산라이츄 국내산라이츄 22.01.17.21:32 1517
6435 우분투에서 리눅스 민트로 넘어왔습니다. 14 image title: 은메달도다 17.10.04.14:58 1499
6434 이것들이 이제 네이버 사칭도 하네...? 16 국내산라이츄 국내산라이츄 21.12.11.23:56 1497
6433 어느쪽이 서버용으로 더 나아 보이나요? 30 제르엘 제르엘 18.12.03.01:12 1489
6432 제 도메인이 사라졌습니다ㅡㅡ;; 5 image Hanam09 Hanam09 19.02.19.18:44 1473
6431 주간 근황 image 국내산라이츄 국내산라이츄 22.03.20.23:19 1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