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얼마 전 엔비디아의 첫 파스칼 미들칩 GTX 1080의 공개와 함께 GPU Boost 3.0과 Fast Sync라는 기술이 같이 소개되었습니다.

 

NVIDIA Fast Sync는 게임 중 화면의 주사율을 넘어가는 프레임이 유지될 때 일어나는 화면이 찢기는 현상, 일명 티어링 현상을 방지하는 기술로, V-Sync, G-Sync와 비슷한 기능입니다.

 

V-Sync의 대체재라고 보시면 되지만, 기존의 V-Sync의 느린 응답 속도를 보완한 기능이라고 보시면 쉽습니다.

 

다만 V-Sync 처럼 프레임 제한을 걸어서 60 프레임 이상일 시 60 유지, 그 이하일 시 30 유지를 하는 방식이 아닌 기존의 프레임을 유지하며 티어링 현상을 줄이고, 수직 동기화의 고질적 문제인 느린 응답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G-Sync와는 다르게 딱히 특별한 모듈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서,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Enable 하는 것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네요.

 

그리고 현재 구공정 모델들도 368.25 드라이버 설치 후 NVIDIA Inspector를 이용한 Fast Sync 사용이 비공식적으로 확인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선 구공정 모델들도 시간이 지나는대로 정식 지원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보입니다.

 

=> 해당 항목은 아래 레딧 스레드를 참고하세요. 게시글 작성자는 Maxwell 그래픽카드 사용자라고 합니다.

(해당 스레드를 따름으로써 발생할 혹시 모를 문제에 대해서 저는 일절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설정 후 문제를 겪었다는 코멘트도 있습니다.)

https://www.reddit.com/r/nvidia/comments/4l86nm/fast_sync_is_available_right_now/

 

(현재로서는 368.25 드라이버에서 파스칼 정식 지원)

 

 

m__719fa2de68ae1bf468da368e619e772016109

 

원리는 기존의 Front Buffer, Back Buffer 이외의 세번째 버퍼인 LRB_Last Rendered Buffer 이라는 새로운 버퍼를 추가했다고 하네요.

 

이 LRB는 Front Buffer가 프레임을 스캔하는 동안 가장 최근의 Back Buffer가 렌더한 마지막 프레임을 홀드하고, 프레임 스캔이 끝나면 LRB 데이터를 Front Buffer로 복사한 후 다음 Back Buffer 렌더한 가장 최근의 프레임을 홀드 하는 방식을 반복시키는 것이라고 하네요. (_이 부분은 전문가의 정확한 설명이 더 필요할 듯 하네요.)

 

 

m__e7e8f2da4faf8a37ecba3149d7844e8c16109

(NVIDIA Fast Sync의 Pipeline)

 

 

-------------

 

방금 노트북으로 레딧 스레드 실험해봤습니다. 스펙은 맥스웰 GTX 970M 논옵티머스 기준이고, 디스플레이는 주사율 60hz입니다.

 

오버워치 최하옵으로 놓고 테스트 해봤는데 일단 설정은 먹는 것 같긴 하네요. 크래쉬나 블루스크린도 없습니다.

 

 

NVIDIA Inspector 설정에서 _GLOBAL_DRIVER_PROFILE 아래에서 설정 시

 

NVIDIA 제어판 3D 관련 메뉴에서 Vertical Sync 옵션이 Custom으로 변경되고,

 

게임 플레이 시 전체화면에서 프레임이 120 위주로 고정되고 그 주변에서 놉니다. 인풋렉은 없다시피하고 티어링도 없는 것 같네요.

fullscreen windowed에선 120 근처에서 머무르는 프레임 제한이 완전히 풀리고 마찬가지로 인풋렉은 없다시피하고 티어링도 없는거같구요.

 

근데 설정을 안줬을 때도 제가 막눈이라 그런지 티어링이 매우 적어보여서 실제로 티어링이 없어진 것 같긴 하면서도 있는 것 같고 그러네요. 티어링이 저한테는 예전부터 눈에 별로 안띄어서 크게 차이점이 보이는 것 같지 않습니다.

 

참고 링크: http://www.hardwarezone.com.sg/review-nvidia-geforce-gtx-1080-review-new-king-crowned/gpu-boost-30-and-fast-sync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작업 완료] 설 명절 맞이 서버 업데이트 안내 3 마스터 마스터 24.02.11.17:21 1083
공지 [중요] 호스팅 만료와 관련하여 일부 수칙이 변경됩니다. 4 마스터 마스터 23.01.14.02:23 4767
30 쿠키 삭제하기 image 맛수타 17.06.12.06:08 657
29 윈도우 10 정품을 싸게 구매해보자! 31 image Dobob title: 도밥위키!Dobob 17.07.08.12:59 10823
28 웹호스팅에 쉽게 Let's Encrypt 설치하기 (1) - ZeroSSL 이용하기 6 image YJSoft YJSoft 17.07.12.12:54 4031
27 이것만 알면 호스팅 초보도 무료로 할 수 있습니다! 20 기특한크리퍼 17.09.26.17:54 995
26 간단한거지만 윈도우 공유폴더 만들기 image 막시모 막시모 17.10.05.11:57 1155
25 [시놀로지NAS] 로그아웃 타이머 시간 늘리기 3 image 막시모 막시모 17.10.05.11:59 2995
24 현재 내 컴퓨터에서 공유되어있는 공유폴더 확인하기 image 아이노 17.10.14.15:05 2214
23 밑에 공유 폴더 시리즈가 있길래 공유 폴더 팁 2 image NoYeah NoYeah 17.10.14.15:18 725
22 [Tip or 강좌] 카카오톡 미리보기 없애는 방법 10 image humit title: 황금 서버 (30일)humit 17.11.01.13:36 4512
21 Hanam09 의 보안(?)강좌 22 Hanam09 Hanam09 17.11.18.17:18 771
20 Hanam09 의 보안(?)강좌(2) 1 Hanam09 Hanam09 17.11.20.17:18 616
19 웹호스팅에 쉽게 Let's Encrypt 설치하기 (2) - SSL For Free 이용하기 8 image YJSoft YJSoft 18.01.04.11:31 1660
18 DNS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봅시다: 1. DNS 질의 절차 따라가 보기 3 abnoeh abnoeh 18.03.27.20:48 5829
17 DNS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봅시다: 2. 각 DNS 레코드의 기능 2 abnoeh abnoeh 18.03.30.10:09 1058
16 정말정말 기본적인 XE 위젯 반응형 적용하기 (라이믹스도 OK!) 7 image 망할윈도우미 망할윈도우미 18.04.29.10:21 1251
15 [ASP.NET Core를 이용한 웹사이트 만들기] OT. ASP.NET Core란 무엇인가?, 작업 환경 구성 5 0x00000FF 0x00000FF 18.09.06.00:51 1927
14 [ASP.NET Core를 이용한 웹사이트 만들기] 1. 시작하기 3 image 0x00000FF 0x00000FF 18.09.07.19:20 1432
13 아실분들은 아실 미디어위키 웹호스팅상에서의 시각편집기 설치방법(게시판 이동) 4 image 퓨처마츠 퓨처마츠 18.10.03.20:33 1358
12 [2019 고1] 통합사회_ 내멋대로 정리 끝 {협스} 16 갱생협스 갱생협스 19.04.26.21:30 2553
11 [샷투샷] 오티 3 image 갱생협스 갱생협스 20.04.01.16:04 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