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
도다
- 조회 수 437
제가 느린걸 못 참는 성격이라, HTTP/2 에 SSL은 기본이고 여러가지 NGINX 옵션들을 막 만졌습니다. XETOWN 돌아보다가 우연히 사이트 발견해서 해봤는데, A+를 받았네요.
https://www.ssllabs.com/ssltest/
스포어에서 돌아가는 위키는 A를 받았습니다. 아마 HSTS 때문에 그렇지 않을까 싶어요.
간편 서버 설정에서 HSTS 설정하면 A+를 받지 않을까염
위키 서버랑 같은 위치에 있는 XE 게시판도 A+!
작성자
댓글 11
![profile imag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701/701.jpg?t=1486228059)
Let's Encrypt 를 그냥 사용하면 A 등급 HSTS를 사용하면 A+ 등급이 나옵니다.
![comment menu](/modules/board/skins/comely_board/images/icn_more.png)
2017.08.03. 16:55
![title : 열려라 맛스타의 자물쇠 title: 열려라 맛스타의 자물쇠](https://studyforus.com/./files/iconshop/a381f34c40279dbd0fa6d1773d91df4c.jpg)
![profile imag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281/042/42281.jpg?t=1501163838)
https://www.ssllabs.com/ssltest/analyze.html?d=music.iteq.kr
studyforus 에 hsts / http2 적용 하니
A+ 나오네요~
studyforus 에 hsts / http2 적용 하니
A+ 나오네요~
![comment menu](/modules/board/skins/comely_board/images/icn_more.png)
2017.08.03. 17:3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신청해봐야겠습니다 ㅎ
![comment menu](/modules/board/skins/comely_board/images/icn_more.png)
2017.08.03. 18:28
![profile imag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446/179/179446.jpg?t=1714311433)
축하...드려요?
![comment menu](/modules/board/skins/comely_board/images/icn_more.png)
2017.08.03. 18:34
![profile imag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243/079/79243.png?t=1557602528)
저도 느린걸 못참아서 Gzip + HSTS + NGINX + HTTP/2까지 해놨는데도 빠른걸 못느끼겠네요.
라즈베리파이여서 그런건지 회선이 SKT여서 그런건지 답답합니다.
혹시 더 빠르게 하는법 아시나요?
라즈베리파이여서 그런건지 회선이 SKT여서 그런건지 답답합니다.
혹시 더 빠르게 하는법 아시나요?
![comment menu](/modules/board/skins/comely_board/images/icn_more.png)
2017.08.03. 22:37
![title : 은메달 title: 은메달](https://studyforus.com/./files/iconshop/8009ac0418a7f727a30d9a6685aa3ce6.gif)
음... 내부아이피로 접속해도 느리다면 라즈베리파이라서 느린거겠지요!
상대적으로 서버용 시퓨인 제온을 따라가기엔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상대적으로 서버용 시퓨인 제온을 따라가기엔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comment menu](/modules/board/skins/comely_board/images/icn_more.png)
2017.08.04. 01:53
![profile imag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40/096/96640.gif?t=1548527149)
라즈베이파이의 한계보단 (접속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 그게 회선+서버 처리 속도의 한계입니다.
Http/2를 사용한다고, NginX를 사용한다고 gzip을 사용한다고 해도 그게 한계입니다.
서버가 제온이고 회선이 다른 화선이어도 속도는 비슷할 겁니다.
위에 http2나 nginx를 사용하거나 gzip을 사용하는 경우는 처리해야 할 정보가 많은 경우에 유용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처리해야 할 정보는 문서양, 동접자등등 복합적입니다.
좀 더 기능에 대해 나열하자면
Http/2는 동시에 많은 이미지나 글외에 많은 컨텐츠가 많이 포함된 경우 직렬적 전송이 아닌 병렬적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좋습니다.
NginX는 동접자가 아주 많은 경우 아파치 보단 유리합니다. 동접자가 1-2명인 경우는 거의 비슷비슷합니다. (오히려 아파치가 다 빠를겁니다.)
gzip은 js나 css등 컨텐츠 외 부가 문서들이 많거니 디자인 요소들을 많이 사용하면 효과가 있지만 요즘 처럼 인터넷이 빠른 세상에서 효과는 미미하다고 합니다.
TTFB가 어느정도 나오길래 느리다고 하는건가요?
제가 가끔 공작님 위키나 사이트를 갔을 때는 안느라던데요.
Http/2를 사용한다고, NginX를 사용한다고 gzip을 사용한다고 해도 그게 한계입니다.
서버가 제온이고 회선이 다른 화선이어도 속도는 비슷할 겁니다.
위에 http2나 nginx를 사용하거나 gzip을 사용하는 경우는 처리해야 할 정보가 많은 경우에 유용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처리해야 할 정보는 문서양, 동접자등등 복합적입니다.
좀 더 기능에 대해 나열하자면
Http/2는 동시에 많은 이미지나 글외에 많은 컨텐츠가 많이 포함된 경우 직렬적 전송이 아닌 병렬적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좋습니다.
NginX는 동접자가 아주 많은 경우 아파치 보단 유리합니다. 동접자가 1-2명인 경우는 거의 비슷비슷합니다. (오히려 아파치가 다 빠를겁니다.)
gzip은 js나 css등 컨텐츠 외 부가 문서들이 많거니 디자인 요소들을 많이 사용하면 효과가 있지만 요즘 처럼 인터넷이 빠른 세상에서 효과는 미미하다고 합니다.
TTFB가 어느정도 나오길래 느리다고 하는건가요?
제가 가끔 공작님 위키나 사이트를 갔을 때는 안느라던데요.
![comment menu](/modules/board/skins/comely_board/images/icn_more.png)
2017.08.04. 10:01
![profile imag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243/079/79243.png?t=1557602528)
http://www.bytecheck.com 여기서 측정해보니깐 1500대가 나오네요.
이건.. 회선이 SKT인 이유겠죠?
이건.. 회선이 SKT인 이유겠죠?
![comment menu](/modules/board/skins/comely_board/images/icn_more.png)
2017.08.04. 12:47
![profile imag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40/096/96640.gif?t=1548527149)
외국에서 접속 기준이라 우리 나라 기준에는 맞지 않습니다.
해외 회선 속도가 더 중요합니다. 게다가 TTFB도 전체 소요시간을 잡은 DOM타임으로 나오네요.
원래는 wait 타임만 TTFB로 판단합니다.
브라우저로 확인해보니 150ms 나옵니다.
또한 페이지 전체 로딩 속도의 기준인 (광고 같은것 제외) DOM 타임도 600ms~1초 정도로 매우 빠른편입니다.
![comment menu](/modules/board/skins/comely_board/images/icn_more.png)
2017.08.04. 16:35
축하드립니다.
![comment menu](/modules/board/skins/comely_board/images/icn_more.png)
2017.08.05. 04:42
옹 A+라니 높네요! 축하드려요!
![comment menu](/modules/board/skins/comely_board/images/icn_more.png)
2017.08.07. 21:50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