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6
  • NoYeah
  • 조회 수 2249

네임 서버와 도메인 관리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이란?

 

지난 번 설명드렸던 숫자로 되어있는 IP주소를 알기쉬운 영어로 구성된 도메인으로 변경하고 연결해주는 시스템입니다.

 

 

네임 서버와 DNS의 관계를 알아가려면 구조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대규모로 호스팅을 하는 업체라면 자체적인 네임서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운용하는 개인서버라도 무료로 제공하는 네임서버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메인 구매 업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네임서버도 아주 쓸만합니다. 네임서버는 그 네임서버를 통해서 영어 단어로 입력한 그 도메인 주소를 서버로 접속하게 해주기 위한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쉽게 생각해보자면 이렇게 비유할 수 있습니다

 

  • IP 주소 : 전화 번호
  • 도메인 이름 : 연락처에 지정된 이름
  • 네임 서버 : 전화번호 부

 

즉, 직접 IP주소를 입력해서 들어간다면 누군가에게 전화할 때 직접 번호 하나하나 눌러서 전화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도메인 이름을 입력해서 접속하는 경우는 전화번호 부에서 "맛스타" 전화번호를 찾아 전화를 거는 것이지요.

근데, "맛스타"에게 전화를 걸기 위해 전화번호 부에서 "맛스타" 전화 번호부를 찾아야 하겠죠? 그 역할을 네임서버가 담당을 합니다. (찾아주는 역할까지)

자주 사용하는 연락처 앱을 다른 어플로 교체하듯이 필요에 따라 전화번호 부의 역할을 담당하는 네임서버도 원하는 입맛대로 교체할 수가 있습니다.

 

간단한 원리로 표현하자면 위와 같지만, 실제로 접속되는 원리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 클라이언트, 즉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에서도 모두 DNS에 연결되어 있는데 도메인과 연결된 네임서버 접속은 DNS 검색부터 시작하거든요.

 

그 접속 원리를 알아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abc.com이라는 도메인으로 연결하고 싶은 경우입니다.

모든 도메인들은 네임서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전달 과정은 이렇게 될겁니다.

 

abc.com을 주소창에 입력   >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DNS에서 도메인 확인 >

도메인이 속해있는 네임서버 검색 >

abc.com 도메인을 가지고 있는 도메인 업체의 네임서버로 접속   >   

abc.com에서 IP주소 확인   >  

IP주소를 가진 서버로 접속   >   

브라우저에서 연결된 IP주소에 관한 내용을 보여줌

 

 

위의 예를 통해 전달 원리를 알아보자면..

"맛스타"에게 전화 걸고 싶음(브라우저에서 사이트접속) > "연락처"앱 실행(사용자 컴퓨터 DNS통해 네임서버 검색) > "맛스타"검색(네임서버 접속 후 도메인 연결 IP확인) > "맛스타"에게 전화 걸음 (접속)

의 원리와 같습니다.

 

 

 

도메인 제공업체에서 사용하는 자제적인 네임서버를 사용하든, 네임서버를 변경하든, 호스팅 사의 네임서버를 사용하든 네임서버가 도메인의 접속속도에 주는 영향은 상당히 미미합니다.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임서버를 변경하는 이유는 기능적인 부분과 여러 도메인을 한번에 관리하기 위한 것이 가장 큽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도메인 연결방법은 어떤 방법이 있는지 확인해봅시다.

 

자주 사용하는 도메인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Record를 기준으로 합니다. 여러 레코드가 있지만 실질적으로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을 위한 레코드를 적어보면 이렇습니다.

 

1. A Record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IPv4방식(예 - 123.123.231.231)의 IP주소로 연결해 줍니다. 현재 아직까지도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방법입니다.

 

2. AAAA Record

IPv6방식(예 - 2001:0db8:85a3:08d3:1319:8a2e:0370:7334)의 IP주소에 연결을 하여 줍니다. IPv6의 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만 관련됩니다.

 

3. CNAME Record

별칭도메인이라고 부릅니다. 서버의 IP주소를 모르는 경우 A 레코드로 연결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는데, 복잡한 IP주소 형태(A 레코드)가 아닌 도메인 자체가 IP를 대신하는 역할로 도메인을 연결해주는 방법입니다.

위의 예를 가지고 설명하자면 "맛스타"의 전화번호는 "마스터"와 같은 전화번호라고 했을 때, 전화번호 부에 "맛스타"의 전화 번호는 "마스터"의 전화번호와 같음 이라고 저장하고 "맛스타"로 전화를 걸면 "마스터"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4. DDNS Record

개인 서버를 운영하거나 공인 IP가 유동적인 경우에는 변경된 아이피 주소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줍니다. A Record방식과 연결방식에는 차이가 없지만 자동으로 변경된 아이피를 갱신하는냐, 아니면 직접 입력을 하느냐의 차이입니다.

DDNS는 나중에 따로 설명하겠지만 공유기에서 실행되는 DDNS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덜 번거롭습니다.

마치 "맛스타" 이 양반은 전화번호를 수시로 바꾸는 사람인데 바꿀때 마다 자동으로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맛스타"의 전화번호를 새 전화번호로 전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5. 웹 포워딩

아이피주소가 아닌 웹 주소로 직접 전달을 합니다. 웹 포워딩의 장점은 복잡한 주소를 한번에 연결할 때 편합니다.

방식도 두가지가 있는데 이동하는 주소가 보여지는 경우는 단순한 리디렉션과 같습니다. 

 

하지만 원래 주소를 감춰서 보여줄수도 있긴 한데 억지로 감추면 멀쩡한 웹페이지 해상도가 꼬이는 등 별별 현상이 다 일어납니다;; 아마, 자체적인 브라우징 또는 iframe 비슷한 기술을 통해 고정된 페이지 안에 웹 페이지가 보이도록 하기 때문일겁니다.

무료 도메인의 경우 이 방식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오늘은 그림이 없는 글잔치네요. 마땅히 소개할만한 그림이 없어서 글로만 쓰게 되었네요. 다음 시간에는 실질적인 연결방법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피쥐님 포함 2명이 추천

작성자
NoYeah 80 Lv. (46%) 518020/524880EXP

신나는 도박사이트!

 

https://studyforus.com

댓글 6

이니스프리
profile image
평소에 제가 늘 헷갈렸던 부분을 명쾌하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특히 전화번호에 비유를 하셔서 잘 이해가 되었네요 ^^
"마치 "맛스터" 이 양반은 전화번호를 수시로 바꾸는 사람인데 바꿀때 마다 자동으로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맛스타"의 전화번호를 새 전화번호로 전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성격이 다르긴 하지만 LG 개인번호라고 해서 전화번호를 변경해도 050 번호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생각나네요 :)
그럼 맛스타 님께서도 안녕히 주무세요!
comment menu
2017.11.21. 23:57

신고

"이니스프리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NoYeah 작성자 → 이니스프리
profile image
앗, 하필 오타가 있던 부분이네요. ㅋㅋ
그 050 서비스와 비슷합니다.
comment menu
2017.11.22. 00:04

신고

"NoYeah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박민영
초보라 이해하기 힘드네요 ㅜㅜ 좀더 공부해야할듯싶어요
comment menu
2017.12.23. 22:03

신고

"박민영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참빛바다
profile image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comment menu
2018.01.05. 01:22

신고

"참빛바다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JAVA
profile image
감사합니다. 다시 한번 개념정리를 했습니다.
comment menu
2018.02.25. 00:05

신고

"JAVA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user
Thanks!
comment menu
2018.11.16. 20:36

신고

"user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권한이 없습니다.